티스토리 뷰
오늘은 인공수정 정부지원 혜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고 있으며,
지난해 출생아 숫자는
역대 최저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제가 살고 있는 부산지역은
저출산은 물론 고령화가
가장 심각한 지역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의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지난 2006년부터 난임지원사업을 지원해 왔으며,
2016년 9월부터 난임 시술지원 소득 기준을
폐지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저소득층 난임 시술지원금과
지원횟수도 늘렸으며,
이번 달부터는 시술비 지원 방식이 아닌
건강보험 적용 방식으로
난임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라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저출산이 늘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요.
하나는 늦은 결혼과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늦게 갖거나
양육비 부담 또는 일ㆍ가정 양립이 어려워서
아이를 낳지 않는 경우가 갈수록 늘고 있으며,
또 하나는 정말 아이를 간절히 원하지만
아이가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있답니다.
전자도 후자도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네요.
저 또한 예외는 아니라 ㅠ_ㅠ
지금부터 인공수정 정부지원 혜택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인공수정 정부지원 대상자 및 혜택은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 임신ㆍ출산을 클릭해주세요.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을 클릭해주세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은 체외수정 시술 등
특정 치료를 통해서만 임신이 가능한
일정소득 계층 이하의 부부에게
시술비의 일부를 지원해주므로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켜주고,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지원 대상자는 일단 법적 혼인상태에 있는
난임부부로 난임 시술을 요하는 의사 진단서를
제출한 자여야 지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접수일 현재 부인의 연령은 만 44세 이하,
부부 중 한 명은 대한민국 국적자여야 하며,
나머지 한 명이 외국 국적인 경우
모두 건강보험 가입자여야만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 인공수정 지원 혜택은
최대 3회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의료급여 수급권자 ~ 기준 중위소득 200% 이하는
3회, 1회당 50만원 범위 내,
기준 중위소득 200% 초과 가구는
3회, 1회당 20만원 범위 내로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체외수정으로 시술 시에도 지원이 되는데
신선배아, 동결배아에 따라 다르며,
소득수준에 따라 지원되는 금액이 다르므로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면 좋을듯합니다.
신청방법은 부인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신청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더 자세한 내용은
복지로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확인하시거나 가까운 보건소를 찾아가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 주변에도 인공수정을 한 친구가 있는데
저는 2세에 대한 생각이 거의 없었고,
모두 실패를 했기 때문에 물어보지 않았는데
다음에는 한번 물어볼까 싶기도 하네요. ㅠ_ㅠ
정말 살기 힘든 시대에 살고 있는듯하네요.
돈만 벌다가 세월 다 갈 것 같아요. ㅎㅎ;;
저도 이제 적은 나이가 아니라
빨리 결정을 해야하는데 갈수록 걱정이네요.
여기까지 인공수정 정부지원 혜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